2025년 공무원 보수 3.0% 인상 및 처우 개선 정책
2025년부터 공무원 보수와 처우가 대폭 개선됩니다.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개정안을 통해 공무원 보수와 복지가 확대되며, 특히 저연차 공무원 및 육아 지원을 중심으로 한 여러 정책 변화가 주목받고 있습니다.
1. 공무원 보수 인상 및 저연차 처우 개선
- 공무원 보수가 3.0% 인상됩니다.
- 9급 초임 봉급은 전년 대비 6.6% 인상되어 최초로 200만 원을 초과하며, 월 평균 보수는 269만 원, 연간 약 3222만 원으로 전망됩니다.
2. 육아휴직 지원 강화
- 육아휴직수당 상한액이 월 150만 원 → 250만 원으로 인상됩니다.
- 부모 모두 육아휴직 시, 육아휴직수당 지급 기간이 12개월 → 18개월로 확대됩니다.
- 육아기 근무시간 단축 수당의 지급 기간도 확대되며, 적용 연령이 초등 2학년 → 초등 6학년으로 늘어납니다.
3. 현장 공무원 지원 확대
- 위험근무수당이 월 6만 원 → 7만 원으로 인상됩니다.
- 민원담당 공무원을 위한 민원업무수당 가산금이 신설되어 월 3만 원이 추가 지급됩니다.
4. 지방공무원 관련 주요 정책
- 육아휴직 경력 인정: 최대 1년 → 휴직기간 전부 인정으로 확대됩니다. 자녀 1명당 최대 3년의 육아휴직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.
- 자기개발휴직 요건: 재직 5년 → 3년으로 단축됩니다.
- 지방공무원 보수도 전년 대비 3% 인상되며, 저연차 공무원을 위한 정근수당 및 시간외근무수당도 인상됩니다.
5. 기타 지원 정책
- 첫째 자녀에 대한 가족수당을 2만 원 인상하며, 둘째 및 셋째 자녀에 대한 가족수당도 각각 1만 원씩 인상합니다.
- 재난대응 관련 공무원을 지원하기 위한 업무대행수당 지급 근거가 마련됩니다.
'정부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철도노조 파업 대비, 국토부 수송대책 발표 (2) | 2024.12.05 |
---|---|
25년부터 제왕절개 본인부담금 ‘0%’로 전면 무료화 (1) | 2024.12.03 |
정부,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및 이력관리제 도입 (2) | 2024.11.20 |
"2024 연말정산 가이드: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최신 변화 총정리" (2) | 2024.11.19 |
13월의 월급? 국세청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개 (0) | 2024.11.19 |